전체 글
관심사 노트 _ 의식의 흐름이 멈추는 곳에서의 낙서
-
匕 비수비 비수, 숟가락, 견주다, 죽음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비의 어원에 대해서는 다양한 설들이 있으나 대표적으로 사람을 뒤집어 놓은 모양이라는 설과 숟가락의 모양을 본떠 만든들 었다는 설이 있다. 뒤집어 놓은 사람의 모양 비는 고개를 숙여 엎드려 있는 사람의 모습을 본뜬 글자로 갑골문을 보면 사람인의 갑골문을 반대로 뒤집어 놓은 모습을 하고 있다. 엎어져 있는 사람을 죽은 사람으로 보아 죽음에 대한 뜻을 갖게 되었다. 그리고 人을 반대로 놓은 모양에서 정상의 반대라는 의미로 '견주다'는 뜻을 나타내기도 하였으나 후에 뒤집어진 사람 둘을 나란히 한 比(견줄비)가 '견주다'라는 의미로 주로 활용되면서 견주다라는 의미가 퇴색 되었다. ☞ 比(견줄비)는 자형분류로 인해 후에 별도의 부수자가 된다. 숟가..
匕 [비수비], 比 [견줄비] _ 한자 부수 214 자원(어원) 풀이匕 비수비 비수, 숟가락, 견주다, 죽음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비의 어원에 대해서는 다양한 설들이 있으나 대표적으로 사람을 뒤집어 놓은 모양이라는 설과 숟가락의 모양을 본떠 만든들 었다는 설이 있다. 뒤집어 놓은 사람의 모양 비는 고개를 숙여 엎드려 있는 사람의 모습을 본뜬 글자로 갑골문을 보면 사람인의 갑골문을 반대로 뒤집어 놓은 모습을 하고 있다. 엎어져 있는 사람을 죽은 사람으로 보아 죽음에 대한 뜻을 갖게 되었다. 그리고 人을 반대로 놓은 모양에서 정상의 반대라는 의미로 '견주다'는 뜻을 나타내기도 하였으나 후에 뒤집어진 사람 둘을 나란히 한 比(견줄비)가 '견주다'라는 의미로 주로 활용되면서 견주다라는 의미가 퇴색 되었다. ☞ 比(견줄비)는 자형분류로 인해 후에 별도의 부수자가 된다. 숟가..
2019.03.12 -
새마을금고 MG상상뱅크의 상상 모바일 정기 예금과 정기 적금의 금리가 지난 번 인상에 이어 2달만에 다시 소폭 인상되어 금리 인상에 따른 업데이트를 하기로 했다. 상상 모바일 정기예금 2.96% → 3.00% (0.04% 상승) 상상 모바일 정기적금 3.36% → 3.43% (0.07% 상승) 상품에 대한 자세한 설명 및 가입 방법은 이전 글을 참고하기 바란다. ☞【참고】새마을금고(MG 상상뱅크) _ 상상모바일 정기적금 최고이율 적용 방법 MG 상상뱅크 상상모바일 정기예금 및 정기/자유적금 2019.03 금리(이율) 및 해당 지점 금리(이율)는 12개월 기준이며 해당 금리는 우대이율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이번 업데이트 부터는 자유 적금에 대한 금리를 추가하였다. ☞ 참고로 타 금융기관의 많은 상품들은..
MG 새마을금고[상상뱅크] _ 상상 모바일 정기예금, 정기/자유적금 금리 (2019.03 이율상승)새마을금고 MG상상뱅크의 상상 모바일 정기 예금과 정기 적금의 금리가 지난 번 인상에 이어 2달만에 다시 소폭 인상되어 금리 인상에 따른 업데이트를 하기로 했다. 상상 모바일 정기예금 2.96% → 3.00% (0.04% 상승) 상상 모바일 정기적금 3.36% → 3.43% (0.07% 상승) 상품에 대한 자세한 설명 및 가입 방법은 이전 글을 참고하기 바란다. ☞【참고】새마을금고(MG 상상뱅크) _ 상상모바일 정기적금 최고이율 적용 방법 MG 상상뱅크 상상모바일 정기예금 및 정기/자유적금 2019.03 금리(이율) 및 해당 지점 금리(이율)는 12개월 기준이며 해당 금리는 우대이율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이번 업데이트 부터는 자유 적금에 대한 금리를 추가하였다. ☞ 참고로 타 금융기관의 많은 상품들은..
2019.03.06 -
力 힘력 힘, 힘쓰다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力(힘력)은 힘을 줄때 팔뚝 근육에 생기는 불거진 힘줄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힘과 관련된 의미로 쓰여진다. 허신은 '설문해자'에서 力은 힘줄이며 사람의 근육 모양을 상형했다. 사람의 힘줄 무늬를 力(힘력)이라 하므로 나무의 무늬결은 朸(나에테력), 땅의 무늬결은 阞(지맥늑), 물의 무늬결은 泐(돌갈라질늑)이라 설명하였다. 근육의 힘줄을 본떠 만든 글자라는 설 외에도 쟁기를 본떠 만들었다는 설도 존재한다. 농경사회였던 예전에는 농사를 짓는 일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일이었다. 농사를 짓기 위해선 우선 흙을 파내 땅을 갈아 엎어야 하는데 이러한 일은 무척이나 힘든 노동이었을 것이다. 그래서 밭을 갈 때 쓰였던 도구인 쟁기는 무엇보다도 중요한 도구였고, 이 도구는 ..
力 [힘력], 勹 [쌀포](쌀포몸) _ 한자 부수 214 자원(어원) 풀이力 힘력 힘, 힘쓰다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力(힘력)은 힘을 줄때 팔뚝 근육에 생기는 불거진 힘줄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힘과 관련된 의미로 쓰여진다. 허신은 '설문해자'에서 力은 힘줄이며 사람의 근육 모양을 상형했다. 사람의 힘줄 무늬를 力(힘력)이라 하므로 나무의 무늬결은 朸(나에테력), 땅의 무늬결은 阞(지맥늑), 물의 무늬결은 泐(돌갈라질늑)이라 설명하였다. 근육의 힘줄을 본떠 만든 글자라는 설 외에도 쟁기를 본떠 만들었다는 설도 존재한다. 농경사회였던 예전에는 농사를 짓는 일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일이었다. 농사를 짓기 위해선 우선 흙을 파내 땅을 갈아 엎어야 하는데 이러한 일은 무척이나 힘든 노동이었을 것이다. 그래서 밭을 갈 때 쓰였던 도구인 쟁기는 무엇보다도 중요한 도구였고, 이 도구는 ..
2019.03.04 -
돈을 벌기 위해 블로그를 시작한 건 아니지만 애드센스를 달고 조금씩 수익이 나기 시작하면서부터 나도 모르게 신경이 쓰이기 시작했다. 솔직히 다른 블로거의 수익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인터넷에 떠도는 수익 인증 글 등을 보면 CPC 단가나 하루 평균 수익 등이 나와는 조금 차이가 있는 것 같다. 뭐 수익을 극대화 하기 위해 노력하는 블로거들이 많고 또 광고 배치나 개수 그리고 컨텐츠 종류에 따라 충분히 달라질 수 있는 부분이니 그럴 수 있다 생각한다. 그런데 최근 들어 아주 빈번하게 일어나는 이상한 일이 있다. 클릭은 있는데 수입은 없는 CPC가 0인 상황! 글을 자주 쓰는 편은 아니지만 그래도 2년 가까이 블로그를 했고 블로그를 시작하면서 바로 애드센스 승인을 받았기 때문에 애드센스 광고를 달게 된건 블..
하루에도 몇 번씩 애드센스 광고 클릭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CPC는 0원!돈을 벌기 위해 블로그를 시작한 건 아니지만 애드센스를 달고 조금씩 수익이 나기 시작하면서부터 나도 모르게 신경이 쓰이기 시작했다. 솔직히 다른 블로거의 수익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인터넷에 떠도는 수익 인증 글 등을 보면 CPC 단가나 하루 평균 수익 등이 나와는 조금 차이가 있는 것 같다. 뭐 수익을 극대화 하기 위해 노력하는 블로거들이 많고 또 광고 배치나 개수 그리고 컨텐츠 종류에 따라 충분히 달라질 수 있는 부분이니 그럴 수 있다 생각한다. 그런데 최근 들어 아주 빈번하게 일어나는 이상한 일이 있다. 클릭은 있는데 수입은 없는 CPC가 0인 상황! 글을 자주 쓰는 편은 아니지만 그래도 2년 가까이 블로그를 했고 블로그를 시작하면서 바로 애드센스 승인을 받았기 때문에 애드센스 광고를 달게 된건 블..
2019.03.04 -
앞서 당구의 기본적인 요소로 당점과 스트로크에 대한 이야기를 잠깐 했었다. 그리고 오늘은 당구의 두께에 대한 이야기를 간략하게 하려고 한다. 두께 조절과 조준점 일반적으로 가장 먼저 두께를 정하고 상황에 맞는 당점과 스트로크을 조절하게 된다. 당점과 스트로크에 앞서 우선 선행되어야 할 것이 바로 두께 조절이다. 만약 두께를 제대로 조절하지 못한다면 회전이나 스트로크에 대한 효과 역시 반감 된다. 두께를 자신이 원하는 만큼 정확하게 맞추기 위해서는 많은 연습이 필요하며 또 연습을 통해 감각을 익힐 수 있다. 하지만 무턱대고 눈 대중으로 하는 연습엔 어려움이 따른다. 두께 조절 연습을 위해선 우선 공에 등분해야 하는데 고수들은 두께를 조절할 때 10등분 이상으로 미세하게 조절을 한다고 한다. 하지만 일반적인..
당구 기본 테크닉의 이해 _ 두께 조절 및 겨냥법을 위한 조준점 계산앞서 당구의 기본적인 요소로 당점과 스트로크에 대한 이야기를 잠깐 했었다. 그리고 오늘은 당구의 두께에 대한 이야기를 간략하게 하려고 한다. 두께 조절과 조준점 일반적으로 가장 먼저 두께를 정하고 상황에 맞는 당점과 스트로크을 조절하게 된다. 당점과 스트로크에 앞서 우선 선행되어야 할 것이 바로 두께 조절이다. 만약 두께를 제대로 조절하지 못한다면 회전이나 스트로크에 대한 효과 역시 반감 된다. 두께를 자신이 원하는 만큼 정확하게 맞추기 위해서는 많은 연습이 필요하며 또 연습을 통해 감각을 익힐 수 있다. 하지만 무턱대고 눈 대중으로 하는 연습엔 어려움이 따른다. 두께 조절 연습을 위해선 우선 공에 등분해야 하는데 고수들은 두께를 조절할 때 10등분 이상으로 미세하게 조절을 한다고 한다. 하지만 일반적인..
2019.03.03 -
刀 칼도 칼, 돛없는 작은배, 화폐이름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칼은 지금도 유용한 도구로 예전에는 사냥이나 전시에 무기로 사용되어 짐승이나 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도구였다. 갑골문은 칼날이 굽은 외날칼의 모양을 표현한 것으로 왼쪽과 오른쪽은 칼날, 위쪽은 칼자루 모양을 하고 있다. 허신은 '설문해자'에서 刀라는 것은 병기의 한가지 종류이며 무기로 쓰였다 설명하였다. 거룻배 刀의 초기 문자는 그 모양이 마치 ‘돛을 달지 않은 작은 거룻배'와 같다고 하여 거룻배의 의미로도 사용되었으나 뒤에 ‘배’를 의미하는 글자로 舟(배주)가 쓰이면서 그 의미를 잃게 되었다. 단옥재의 해설에서는 刀를 작은 배를 뜻하는 글자로 가차하였다고 하였다. ☞ 단옥재: 청나라 중기의 언어학자로 설문해자의 해설가 (설문해자..
刀 [칼도], 干 [방패간] _ 한자 부수 214 자원(어원) 풀이刀 칼도 칼, 돛없는 작은배, 화폐이름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칼은 지금도 유용한 도구로 예전에는 사냥이나 전시에 무기로 사용되어 짐승이나 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도구였다. 갑골문은 칼날이 굽은 외날칼의 모양을 표현한 것으로 왼쪽과 오른쪽은 칼날, 위쪽은 칼자루 모양을 하고 있다. 허신은 '설문해자'에서 刀라는 것은 병기의 한가지 종류이며 무기로 쓰였다 설명하였다. 거룻배 刀의 초기 문자는 그 모양이 마치 ‘돛을 달지 않은 작은 거룻배'와 같다고 하여 거룻배의 의미로도 사용되었으나 뒤에 ‘배’를 의미하는 글자로 舟(배주)가 쓰이면서 그 의미를 잃게 되었다. 단옥재의 해설에서는 刀를 작은 배를 뜻하는 글자로 가차하였다고 하였다. ☞ 단옥재: 청나라 중기의 언어학자로 설문해자의 해설가 (설문해자..
2019.03.02 -
冫 얼음빙 / 엉길응 (이수변) 얼음, 얼리다, 차다, 서늘하다, 고체, 엉키다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冫은 추위에 물이 얼 때와 얼음이 녹을 때 생기는 ‘물결의 무늬’를 본뜬 글자로 본래 얼음빙과 엉길응의 두 가지 훈음을 지닌다. 갑골문을 보면 두 개의 갈매기 모양을 하고 있는데 仌(얼음빙/엉길응)은 冫의 본자이다. 후에 仌은 두 줄기 물인 二水(이수)의 모양인 冫으로 간략화되면서 단독으로는 쓰이지 않게 되고 보통 변의 위치해 사용되면서 통칭 '이수변'이라는 명칭을 갖게 된다. ☞ 水는 三水(삼수)의 변형인 세줄기 氵을 나타낸다. 허신은 '설문해자'에서 仌은 ‘얼다’는 뜻이며, 물이 엉기는 모양'을 나타낸다 설명하였다. 冫(얼음빙)은 애초에 어는 것과 관련되어 ‘얼다’와 ‘얼음’의 두 가지 뜻으로 ..
冫 [얼음빙/엉길응](이수변), 水 [물수](삼수변) _ 한자 부수 214 자원(어원) 풀이冫 얼음빙 / 엉길응 (이수변) 얼음, 얼리다, 차다, 서늘하다, 고체, 엉키다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冫은 추위에 물이 얼 때와 얼음이 녹을 때 생기는 ‘물결의 무늬’를 본뜬 글자로 본래 얼음빙과 엉길응의 두 가지 훈음을 지닌다. 갑골문을 보면 두 개의 갈매기 모양을 하고 있는데 仌(얼음빙/엉길응)은 冫의 본자이다. 후에 仌은 두 줄기 물인 二水(이수)의 모양인 冫으로 간략화되면서 단독으로는 쓰이지 않게 되고 보통 변의 위치해 사용되면서 통칭 '이수변'이라는 명칭을 갖게 된다. ☞ 水는 三水(삼수)의 변형인 세줄기 氵을 나타낸다. 허신은 '설문해자'에서 仌은 ‘얼다’는 뜻이며, 물이 엉기는 모양'을 나타낸다 설명하였다. 冫(얼음빙)은 애초에 어는 것과 관련되어 ‘얼다’와 ‘얼음’의 두 가지 뜻으로 ..
2019.02.28 -
冖 덮을멱 (민갓머리) 덮다, 덮는다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천이 사방으로 늘어트려져 있어 덮어 씌워진 보자기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윗부분을 밋밋하고 평평하게, 좌우가 아래로 드리워진 모양을 표현하여 물건을 '덮어 가리다'라는 의미로 쓰인다. 허신은 '설문해자'에서 冖은 一(한일)로 덮는다는 뜻이며 덮으면 사면이 아래로 내려온다 설명했으며, 광운에서는 문자음의를 인용해 말하기를 수건으로 덮어서 一이 아래로 내려온 모양으로 구성되었다 설명하고 있다. ☞ 광운: 한자의 운(韻)을 분류하여 일정한 순서로 배열한 중국 송나라의 서적 冖은 '덮어 가리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나 후에 천막을 뜻하는 幕(장막막)에 冖으로 씌운 冪(덮을멱)이 '덮다, 씌우다'의 뜻을 대신하게 되면서 冖은 단독자로 쓰이지 않고 다른..
冖 [덮을멱](민갓머리), 宀 [집면](갓머리) _ 한자 부수 214 자원(어원) 풀이冖 덮을멱 (민갓머리) 덮다, 덮는다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천이 사방으로 늘어트려져 있어 덮어 씌워진 보자기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윗부분을 밋밋하고 평평하게, 좌우가 아래로 드리워진 모양을 표현하여 물건을 '덮어 가리다'라는 의미로 쓰인다. 허신은 '설문해자'에서 冖은 一(한일)로 덮는다는 뜻이며 덮으면 사면이 아래로 내려온다 설명했으며, 광운에서는 문자음의를 인용해 말하기를 수건으로 덮어서 一이 아래로 내려온 모양으로 구성되었다 설명하고 있다. ☞ 광운: 한자의 운(韻)을 분류하여 일정한 순서로 배열한 중국 송나라의 서적 冖은 '덮어 가리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나 후에 천막을 뜻하는 幕(장막막)에 冖으로 씌운 冪(덮을멱)이 '덮다, 씌우다'의 뜻을 대신하게 되면서 冖은 단독자로 쓰이지 않고 다른..
2019.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