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Foreign Language/漢 字

卜 [점복], 爻 [점괘효/사귈효] _ 한자 부수 214 자원(어원) 풀이

  • -

卜 

 

, 점치다, 점괘, 헤아리다, 곧다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점복

 

 

고대에는 거북의 껍질에 홈을 파고 불로 지져 갈라진 모습으로 길흉을 점쳤다. 단단한 성질의 거북 껍질에 열이 가해지면 보통 직선으로 곧게 갈라졌는데 이러한 모양을 본떠 卜이란 글자가 만들어졌고 점을 쳤던 일에서 연유하여 '점, 점치다, 곧다' 등의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허신 '설문해자'에서 卜은 거북을 구워 쪼갠다는 뜻이며 거북의 굽는 모양을 상형했다 하였다. 일설에는 거북점을 칠 때 상하좌우로 균열된 모양을 상형 한 것이다라 설명하기도 한다.

 

고대에는 수렵, 전쟁, 제사 등의 큰일을 결정할 때 좋고 나쁨을 알기 위해 점을 쳤다. 흔히 거북의 껍질이나 동물의 넓적다리 뼈 등에 홈을 파고 불로 지져 생겨난 갈라진 모양을 보고 길흉화복의 조짐을 판단하였다. 그리고 점술의 내용을 점을 쳤던 거북의 껍질이나 동물의 뼈에 기록하였는데 이렇게 기록된 문자가 바로 갑골문이다.

☞ 卜이 비교적 간단한 모양으로 곧게 갈라진 모습을 본 따 만든 글자라면 (조조/조짐조)는 점을 쳤을 때 복잡하게 갈라진 모양을 본 따 만든 글자이다. 길조(吉兆)나 흉조(凶兆)라는 말은 바로 점을 쳐서 나온 결과에서 만들어진 단어이다.

 

부수로서는 '점', '점치다', 헤아리다'등의 의미로 활용된다.
(점칠점)은 점을 쳐서 나온 점괘(卜)를 입(口)을 통해 말로 풀이하는 것을 뜻한다.

 

 

 

 

  점괘 / 사귈

 

점괘, 점치다, 교차하다, 섞이다, 사귀다계산하다배우다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점괘효

 

 

爻는 좌우로 획을 엇갈리게 그은 2개의 모양을 하고 있다. 爻는 점을 치거나 수효를 셈하기 위해 산가지를 교차해 놓은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이다. 또는 서로 엇갈리게 교차된 부호의 모양을 놓고 점을 칠 때 사용하는 六爻(육효)의 점괘에서 그 의미가 나왔다 하여 爻를 지사자로 보기도 한다.

☞ 육효(六爻)란 주역의 64괘(卦)를 이루는 6개의 효를 말한다. 괘는 가로획을 나타내는 것으로, ‘⚊’은 양(陽)을, ‘⚋’은 음(陰)을 나타낸다. 이 육효는 음양을 배합시켜 사물의 변화를 표현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태극기에 상징으로도 쓰인다.

 

허신 '설문해자'에서 爻는 교차한다는 뜻으로 역(易)의 육효의 머리가 교차한 것을 상형하였다 하였고, 주역의 계사하전(繫辭下傳)에서는 爻는 천하의 움직임을 본받는 것이니, 爻로 인해 길흉이 생기고 회린이 드러나는 것이라 설명하였다.

 

즉, 爻는 점치는 산가지의 모양에서 나온 글자이며 산가지의 어긋난 모양에서 '교차하다'라는 의미가 생겼다. 후에 물질이 교차하면 섞이는 것이고, 마음이 교차하면 사귀게 되니 '섞이다, 사귀다'의 의미까지 확장하게 된다.

 

그리고 爻는 산가지로 숫자를 표시하고 계산한 것에서 '계산하다'는 의미를 가지며 산가지를 통해 계산하는 법을 배우기에 후에 '배우다'는 의미로까지 쓰이게 되었다.

☞ 중국에서 발명한 주산(珠算)은 한나라 때부터 사용되었고, 그 이전에는 산(算)가지를 이용해서 수를 나타내거나 셈을 하였다. 爻자는 X자가 두개 모여 있는 모습인데 이는 숫자 5를 뜻한다. 1~4까지는 산가지를 수평으로 배열(一, 二, 三..) 하였고 5는 두 개의 산가지를 겹쳐 X로 표시하였다. 10은 산가지를 수직으로 세워 놓은 ㅣ의 모습이었다.

 

는 '교차하다, 섞이다, 사귀다, 배우다' 등의 의미를 따르며 경우에 따라 부수의 변형이 일어나기도 한다. 부수로서의 활용은 크지 않고 단지 자형 분류를 위해 부수로 설정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보통 다른 글자와 어울려 조자의 구실을 하거나 발음부호로 사용되어 형성자를 만들기도 한다.

 

 

 

<卜 [점복], 爻 [점괘효/사귈효] _ 자원(어원)을 통한 한자 부수 214의 이해>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