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Foreign Language/漢 字

匚 [상자방](터진입구몸), 匸 [감출혜](터진에운담) _ 한자 부수 214 자원(어원) 풀이

  • -

  상자 (터진입구몸)

상자, 모진그릇,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상자방

 

 

물건을 담거나 넣을 수 있는 네모난 상자를 옆에서 본 모양을 본뜬 글자로 상자의 뚜껑이 열려 있음을 의미한다.

 

의 갑골문 자형을 살펴보면 상자 입구의 방향이 위 혹은 왼쪽이나 오른쪽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되어 있다. 소전에 와서야 현재의 오른쪽이 열린 모양의 으로 고정되어 표현되었는데 이는 위쪽이 열려있는 (입벌릴감)과 구별하기 위함이었다.

 

설문해자에서는 이란 물건을 넣는 그릇이며 상형이라 하였고, 광운(廣韻)에서는 1두(斗)의 양을 담을 수 있는 그릇을 이라 설명하고 있다.

☞ 광운(廣韻)의 정식이름은 대송중수광운(大宋重修廣韻)으로 1008년 한문자(漢文字)를 운에 따라 분류 배열하고 글자마다 음과 뜻을 적어 놓은 운서(韻書)이다.

 

匚은 '상자', '함' 또는 물건을 담는다' 등의 의미를 내포하지만 활용된 글자는 그리 많지 않다. 부수는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고 다른 문자와 어울려 조자의 구실을 한다. 그리고 부수 명칭으로 통칭 '터진입구' 혹은 '튼입구' 등으로 불리지만 본 의미와는 상관없는 부적절한 명칭이라 할 수 있다.

   

직접적으로 그릇이나 상자의 뜻을 내포하는 글자로는 (궤갑), (대상자비), (상자령), (주전자이), (광주리광), (함궤), (널구), (상자변) 등이 있고, 이 외에 (바를광), (장인장), (두를잡), (물돌회) 등은 의미와 크게 관계가 없이 쓰여졌다.

匚(상자방)과 비슷한 모양의 匸(감출혜)는 一(한일)과 乚(숨을은)의 합자로 '숨기다, 감추다'의 뜻을 나타내므로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 해야 한다.   

 

 

 

 

  감출 (터진에운담)

 

감추다, 숨기다, 덮다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감출혜

 

 

윗부분의 가로 횡의 (한일)은 덮어 가림을 의미하고, 아래의 (숨을은)은 감추어 숨김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두자가 합쳐져 '감추고 덮어 가린다'는 의미로서 만들어진 글자이다.

(숨을은)은 (숨을은)의 고자(古字)이다.

 

설문해자에서는 는 나쁜 마음으로 숨기는 것은 을 따른 것이며, 글자 윗부분의 은 이를 덮는다는 뜻이라 설명한다.

 

匸는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으며 음부(音符)로 쓰이는 일도 없다. 보통 '감추다', '숨기다' 등의 의미로 활용되고 다른 문자와 어울려 조자의 구실을 한다.

☞ (짝필), (얇을편), (엎드린언), (숨을닉), (나눌구), (동개예), (두를갑), (더러울루) 등

 

부수의 명칭으로는 (에울위)의 한쪽이 터진 모양이라 하여 통상 '터진에운담'으로 불리우지만 본 의미와 상관없는 부적절한 명칭이라 할 수 있다.

 

(감출혜)는 (상자방)과 모양이 닮아 있어 구별에 유의해야 한다. 은 좌하모서리 부분이 각져있는데 반해 는 조금 둥글게 표현되어 있다. 참고로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匚과 匸의 부수 분류시 국처럼 따로 나눠 분류하지 않고 (감출혜)로 통일하여 사용한다  

 

 

 

<匚 [상자방](터진입구몸), 匸 [감출혜](터진에운담) _ 자원(어원)을 통한 한자 부수 214의 이해>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