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블로그란 개인 블로그와는 다르게 팀원들이 함께 블로그를 운영해 나갈 수 있는 시스템이다. 팀블로그를 어떻게 활용할지에 따라 그 성격이 달리질 수 있겠으나 쉽게 말해 여러 명의 집필자가 하나의 블로그를 운용한다 생각하면 될 듯 하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을 활용하면 한 명이 다양한 계정의 블로그를 관리할 수 도 있다.
팀블로그는 티스토리에만 있는 것이 방식이 아닌 구글의 블로거, 위드프레스, 텀블러 등에도 존재하며 네이버는 단체 아이디를 통해서 팀블로그를 운영할 수 있다. 단, 운영 방식에는 각각의 블로그마다 약간의 차이가 존재한다.
☞ 네이버 팀블로그는 단체회원(법인 및 개인사업자) 만이 개설할 수 있다. 즉, 일반회원은 네이버 팀블로그 개설이 불가능하다.
티스토리 팀블로그 만들기
팀블로그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당연한 이야기 겠지만 우선적으로 팀원이 필요하다. 참고로 티스토리의 팀블로그는 기본적으로 티스토리 계정이 있어야만 참여할 수 있으므로 팀블로그에 참여하고자 하는 팀원은 먼저 티스토리 계정을 만들어야 한다.
팀블로그 팀원 초대하기
함께 하고자 하는 팀원이 티스토리 계정을 갖고 있다면 이제 초대를 해보자.
티스토리의 설정에 가면 가장 아랫쪽 [관리] 항목에서 팀블로그를 확인할 수 있다. 클릭을 해보면 우측에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팀블로그](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9033505CB8236427)
받는 사람 항목에 초대할 팀원의 티스토리 아이디(이메일)를 입력하고 초대말을 넣은 후 초대할 팀원의 권한을 설정하여 초대장을 발송하면 된다.
☞ 참고로 구성원은 최대 200명까지의 초대할 수 있으며, 팀원이 된 후에 팀원의 권한을 변경할 수 있으니 권한 설정에 너무 고민하지 하지 않아도 된다.
발송한 초대장은 초대받은 팀원의 메일로 보내지게 되는데, 초대한 팀원의 메일을 확인해 보면 아래와 같은 초대장이 도착해 있을 것이다.
![초대장](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D670435CB8573D14)
팀원이 수락하기를 클릭하고나면 팀블로그의 팀원으로서 활동이 가능해진다.
팀원의 권한 세부사항
팀블로그 구성원은 소유자/관리자/편집자/필자로 나눠지며, 역할에 따라 메뉴 접근 또는 관리 등의 할수 있는 권한이 달라진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76D0465CB859871F)
소유자
소유자는 블로그의 주인으로 모든 권한을 가진다.
관리자
관리자는 데이터관리 및 블로그 폐쇠를 제외한 거의 모든 권한을 갖게 된다.
편집자
팀블로그 글에 대한 편집 권한은 있으나 블로그 운영 및 구성원 관리는 할 수 없다.
필자
팀블로그에서 글을 작성하여 게시하고 본인이 작성한 글에 대해 편집할 수 있다. 그외 블로그 운영 및 구성원 관리는 할 수 없다.
게시물 책임
팀블로그에 등록된 글은 팀블로그 저작물로 인정되기 때문에 팀블로그 탈퇴 또는 티스토리 회원 탈퇴 시 별도의 삭제 작업을 병행하지 않으며 팀블로그에 올려진 게시물에 대한 모든 책임은 팀블로그 소유자에게 있다.
☞ 블로그의 소유자는 이러한 사항을 염두해 두고 후에 불미스러운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블로그의 최종적인 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
보통 블로그 최적화를 위해 1일 1포스팅을 해야 한다는 이야기들을 곧잘 하곤 하는데, 한 명의 블로거가 매일같이 글을 쓰며 블로그를 관리해 나가는 것은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팀블로그를 이용하여 다양한 구성원들이 블로그를 관리하게 된다면 이러한 부담은 덜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여럿이서 각자의 주제를 다루게 되면 다양성은 있으나 반대로 전문성 부분에 떨어져 결국엔 잡블로그가 될 수 있음에도 유의해야 한다.
팀블로그는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여러가지 장단점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선택적 요소일 뿐 강제적인 사항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각자의 상황에 맞게 팀블로그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블로그를 하는데 있어 좋은 도구가 될 것임에는 틀림이 없어 보인다.
<티스토리 팀블로그 _ 팀원들과 함께 블로그를 운영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