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eign Language/漢 字
-
子 아들자 아들, 아이, 자식(새끼), 첫째 지지(쥐), 남자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아이가 양팔을 벌리고 움직이고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로 발이 하나로 표현된 것은 강보(포대기)에 쌓인 아이의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보여진다. 갑골문을 보면 머리카락이 표현되어 있는데, 금문에 오면서 머리카락은 사라지고 어린아이의 특징을 살려 큰 머리와 몸체만을 그려 갓 태어난 ‘아이’를 형상화 하였다. 허신은 '설문해자'에서 子는 음력 11월에 양기가 움직여서 만물이 번성하는 것으로, 사람들이 호칭으로도 삼았으며 상형이다. 㜽(아들자)는 子의 고문이며 巛(내천)으로 구성되었는데, 머리카락의 모양을 상형한 것이라 설명한다. 사기(史記)의 '율서'에서는 子는 번성한다라는 뜻이며, 만물이 아래에서 자라나는 것을 말한다 하..
子 [아들자](𠫓 아이돌아나올돌), 父 [아비부] _ 한자 부수 214 자원(어원) 풀이子 아들자 아들, 아이, 자식(새끼), 첫째 지지(쥐), 남자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아이가 양팔을 벌리고 움직이고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로 발이 하나로 표현된 것은 강보(포대기)에 쌓인 아이의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보여진다. 갑골문을 보면 머리카락이 표현되어 있는데, 금문에 오면서 머리카락은 사라지고 어린아이의 특징을 살려 큰 머리와 몸체만을 그려 갓 태어난 ‘아이’를 형상화 하였다. 허신은 '설문해자'에서 子는 음력 11월에 양기가 움직여서 만물이 번성하는 것으로, 사람들이 호칭으로도 삼았으며 상형이다. 㜽(아들자)는 子의 고문이며 巛(내천)으로 구성되었는데, 머리카락의 모양을 상형한 것이라 설명한다. 사기(史記)의 '율서'에서는 子는 번성한다라는 뜻이며, 만물이 아래에서 자라나는 것을 말한다 하..
2019.05.11 -
女 계집녀 여자, 딸, 처녀 및 여자와 관련된 여성적 성질, 상태, 관계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여자가 두 손을 가지런히 하고 무릎을 꿇고 앉아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라는 설이 지금까지의 일반적인 견해였으나 최근 여자가 아기를 안고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란 새로운 견해가 등장하여 설득력을 얻고 있다. 여자가 유순하고 얌전하게 앉아 있는 모습으로 女를 설명한 것은 동양윤리 사상에 영향으로 보여진다. BC 3세기 무렵에 쓰여진 '여씨춘추'에는 태고의 백성은 어미는 알아도 아비는 몰랐다는 구절이 있다. 신석기 시대인 앙소(仰韶) 문화의 유적지에서도 여자를 중심으로 묻힌 공동 분묘를 찾아볼 수 있다. 그 당시의 남자들은 수렵 생활을 한 반면, 여자들은 한군데 정착하여 농업과 가사를 하였기에 여자를 중심으로 ..
女 [계집녀], 毋[말무](母 어미모,每 매양매) _ 한자 부수 214 자원(어원) 풀이女 계집녀 여자, 딸, 처녀 및 여자와 관련된 여성적 성질, 상태, 관계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여자가 두 손을 가지런히 하고 무릎을 꿇고 앉아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라는 설이 지금까지의 일반적인 견해였으나 최근 여자가 아기를 안고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란 새로운 견해가 등장하여 설득력을 얻고 있다. 여자가 유순하고 얌전하게 앉아 있는 모습으로 女를 설명한 것은 동양윤리 사상에 영향으로 보여진다. BC 3세기 무렵에 쓰여진 '여씨춘추'에는 태고의 백성은 어미는 알아도 아비는 몰랐다는 구절이 있다. 신석기 시대인 앙소(仰韶) 문화의 유적지에서도 여자를 중심으로 묻힌 공동 분묘를 찾아볼 수 있다. 그 당시의 남자들은 수렵 생활을 한 반면, 여자들은 한군데 정착하여 농업과 가사를 하였기에 여자를 중심으로 ..
2019.05.04 -
大 큰대 크다, 높다, 위대하다, 성인(큰사람)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大는 사람이 양팔과 양 다리를 벌리고 서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로 人이 생기기 전까지 사람을 표현하는 글자였다. 다른 일설로는 사람을 의미하는 人과 으뜸을 상징하는 一의 합자로 '크다'를 뜻하는 것이라 하기도 한다. 허신은 '설문해자'에서 하늘이 크고(위대하고), 땅이 크며(위대하며), 사람도 크다(위대하다). 大는 사람의 모양을 상형한 것이라 설명하였다. 단옥재는 주석하여 '道(길도)가 위대하고, 하늘이 위대하고, 땅이 위대하며, 사람도 위대하다. 사람은 땅을 본받고, 땅은 하늘을 본받으며, 하늘은 道를 본받는다'라 하였다. 天은 一과 大로 구성되었으므로, 天보다 먼저 大자를 만들었다. 人과 儿은 단지 사람의 팔, 다리를 상형하..
大 [큰대], 小 [작을소](少 적을소) _ 한자 부수 214 자원(어원) 풀이大 큰대 크다, 높다, 위대하다, 성인(큰사람)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大는 사람이 양팔과 양 다리를 벌리고 서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로 人이 생기기 전까지 사람을 표현하는 글자였다. 다른 일설로는 사람을 의미하는 人과 으뜸을 상징하는 一의 합자로 '크다'를 뜻하는 것이라 하기도 한다. 허신은 '설문해자'에서 하늘이 크고(위대하고), 땅이 크며(위대하며), 사람도 크다(위대하다). 大는 사람의 모양을 상형한 것이라 설명하였다. 단옥재는 주석하여 '道(길도)가 위대하고, 하늘이 위대하고, 땅이 위대하며, 사람도 위대하다. 사람은 땅을 본받고, 땅은 하늘을 본받으며, 하늘은 道를 본받는다'라 하였다. 天은 一과 大로 구성되었으므로, 天보다 먼저 大자를 만들었다. 人과 儿은 단지 사람의 팔, 다리를 상형하..
2019.04.16 -
夕 저녁석 저녁, 초저녁, 밤, 어두움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달이 반쯤 떠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가 지고 달이 뜨는 과정을 나타내어 月(달월)에서 획을 하나 뺀 글자이다. 허신은 '설문해자'에서 夕은 저녁이라는 뜻이다. 달이 반쯤 보이는 모습이다. 多(많을다)는 포개고 더한다는 것이다. 夕을 포갠 모양으로, 夕은 서로 이어져 끝이 없으니 多가 된다. 夕을 포개면 多가 되고, 日(날일)을 포개면 曡(거듭첩/겹쳐질첩)이 된다 설명하였다. ☞ 설문해자에서는 육달월(肉→月)을 석(夕)으로 오해한 것으로 보여진다. 본래 多(많을다)는 고기가 포개져 쌓여 있어 많다는 것을 뜻하는 글자이다. 단옥재는 莫(저물모/없을막)는, 해가 있으면서도 어두워진다는 뜻이다. 해가 장차 어두워 지려고 하면 달이 점차 ..
夕 [저녁석] ,月 [달월](육달월,배주월) _ 한자 부수 214 자원(어원) 풀이夕 저녁석 저녁, 초저녁, 밤, 어두움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달이 반쯤 떠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가 지고 달이 뜨는 과정을 나타내어 月(달월)에서 획을 하나 뺀 글자이다. 허신은 '설문해자'에서 夕은 저녁이라는 뜻이다. 달이 반쯤 보이는 모습이다. 多(많을다)는 포개고 더한다는 것이다. 夕을 포갠 모양으로, 夕은 서로 이어져 끝이 없으니 多가 된다. 夕을 포개면 多가 되고, 日(날일)을 포개면 曡(거듭첩/겹쳐질첩)이 된다 설명하였다. ☞ 설문해자에서는 육달월(肉→月)을 석(夕)으로 오해한 것으로 보여진다. 본래 多(많을다)는 고기가 포개져 쌓여 있어 많다는 것을 뜻하는 글자이다. 단옥재는 莫(저물모/없을막)는, 해가 있으면서도 어두워진다는 뜻이다. 해가 장차 어두워 지려고 하면 달이 점차 ..
2019.04.01 -
夂 뒤져올치 뒤져오다, 천천히 걷다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夂는 사람의 발 모양에서 만들어진 止(그칠지)가 거꾸로 변형된 것으로 발이 아래를 향하고 있는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이다. 허신은 '설문해자'에서 설명하기를 夂는 뒤를 따라 온다는 뜻이다. 사람의 두 다리 뒤에 무엇이 따라오는 것을 상형한 것이라 하였다. ☞ 설문해자의 해석을 두고 夂는 '한 사람이 두 정강이를 밀고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로 보아 '뒤에서 밀어 보낸다'는 뜻을 가진다 설명하기도 한다. 夂는 본래 앞서가는 앞발 보다는 뒷발을 강조하여 '뒤져오다' 라는 뜻과 '비탈길을 걸어갈 때의 발 모양’이라 하여 '내려가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후에 夂는 발에 움직임을 표현한 '뒤져오다'라는 뜻으로 주로 쓰여지면서 '내려가다, ..
夂 [뒤져올치], 夊 [천천히걸을쇠] _ 한자 부수 214 자원(어원) 풀이夂 뒤져올치 뒤져오다, 천천히 걷다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夂는 사람의 발 모양에서 만들어진 止(그칠지)가 거꾸로 변형된 것으로 발이 아래를 향하고 있는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이다. 허신은 '설문해자'에서 설명하기를 夂는 뒤를 따라 온다는 뜻이다. 사람의 두 다리 뒤에 무엇이 따라오는 것을 상형한 것이라 하였다. ☞ 설문해자의 해석을 두고 夂는 '한 사람이 두 정강이를 밀고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로 보아 '뒤에서 밀어 보낸다'는 뜻을 가진다 설명하기도 한다. 夂는 본래 앞서가는 앞발 보다는 뒷발을 강조하여 '뒤져오다' 라는 뜻과 '비탈길을 걸어갈 때의 발 모양’이라 하여 '내려가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후에 夂는 발에 움직임을 표현한 '뒤져오다'라는 뜻으로 주로 쓰여지면서 '내려가다, ..
2019.03.26 -
土 흙토 흙, 땅, 토지, 지방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土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갈린다. 흙을 뚫고 나오는 초목이 싹튼 형태, 땅 위에 흙 기둥을 세워 제사를 지내는 모습, 죽은 사람을 위한 십자가 비석의 모습 등 다양한 설들이 있다. 土의 갑골문을 살펴보면 땅(一) 위에 뭉쳐 세워 놓은 흙의 모습을 하고 있다. 그리고 몇몇 갑골문의 경우에 세워놓은 흙 주위에 점이 그려져 있는데 앞서 이야기한 설들에 맞춰 생각해본다면 술을 상징하거나 비를 상징하는 것일 수도 있고, 어쩌면 눈물을 상징하는 것일 수도 있다. 허신은 '설문해자'에서 土를 땅이 만물을 토해내는 것이며, 글자의 二는 땅 위와 땅 안을 그린 것이고, 丨은 만물이 나오는 것이라 설명하였다. 고대 중국인들은 돌이 없는 황토(황하)지대..
土 [흙토], 生 [날생] _ 한자 부수 214 자원(어원) 풀이土 흙토 흙, 땅, 토지, 지방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土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갈린다. 흙을 뚫고 나오는 초목이 싹튼 형태, 땅 위에 흙 기둥을 세워 제사를 지내는 모습, 죽은 사람을 위한 십자가 비석의 모습 등 다양한 설들이 있다. 土의 갑골문을 살펴보면 땅(一) 위에 뭉쳐 세워 놓은 흙의 모습을 하고 있다. 그리고 몇몇 갑골문의 경우에 세워놓은 흙 주위에 점이 그려져 있는데 앞서 이야기한 설들에 맞춰 생각해본다면 술을 상징하거나 비를 상징하는 것일 수도 있고, 어쩌면 눈물을 상징하는 것일 수도 있다. 허신은 '설문해자'에서 土를 땅이 만물을 토해내는 것이며, 글자의 二는 땅 위와 땅 안을 그린 것이고, 丨은 만물이 나오는 것이라 설명하였다. 고대 중국인들은 돌이 없는 황토(황하)지대..
2019.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