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 영문법
-
부사는 동사를 꾸며주는 역할을 하며, 동사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부사는 동사와 가능한 가까운 곳이 위치하게 된다. 부사의 위치 부사의 위치 결정에는 동사의 종류가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 be 동사 뒤, 일반동사 앞 She is always busy. We always exercise in the morning. 형용사 + ly 형용사는 명사를 도와주며 꾸며준다. 그리고 부사는 동사를 도와주며 꾸며준다. 형용사와 부사는 같은 성격과 역할을 한다. 그래서 부사를 만들때 새로운 단어를 사용하는 것 보다 이미 존재하는 형용사를 빌려와 ly를 붙여 사용하게 되었다. 즉, 부사의 대부분은 형용사에서 ly를 붙여서 만든다. 형용사 kind warm perfect beautiful → 부사 kindly w..
기초 영문법 _ 부사부사는 동사를 꾸며주는 역할을 하며, 동사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부사는 동사와 가능한 가까운 곳이 위치하게 된다. 부사의 위치 부사의 위치 결정에는 동사의 종류가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 be 동사 뒤, 일반동사 앞 She is always busy. We always exercise in the morning. 형용사 + ly 형용사는 명사를 도와주며 꾸며준다. 그리고 부사는 동사를 도와주며 꾸며준다. 형용사와 부사는 같은 성격과 역할을 한다. 그래서 부사를 만들때 새로운 단어를 사용하는 것 보다 이미 존재하는 형용사를 빌려와 ly를 붙여 사용하게 되었다. 즉, 부사의 대부분은 형용사에서 ly를 붙여서 만든다. 형용사 kind warm perfect beautiful → 부사 kindly w..
2018.04.25 -
사역동사 (make, have, let) 사역동사는 노동과 관련된 동사이다. 그럼 왜 이런 노동에 관련된 동사를 따로 사역동사란 이름으로 강조하게 된 것일까? 영어권 사람들은 노동을 신성하게 여긴다. 때문에 이러한 단어를 특별 취급하여 분류한다. make, have, let는 사역동사로 모두 '~을 시키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뉘앙스가 조금씩 다르다. * I made him to clean the room. 나는 그에게 방 청소를 하게 시켰다. → 강제로 명령을 하여 시키는 느낌 * I had her to wash the dishes. 나는 그녀에게 설거지를 하게 했다. → 하고 싶지 않거나, 할 수 없는 경우 등, 대신 누군가에게 일을 요청하거나 지시하는 느낌 * My father let me t..
기초 영문법 _ 사역동사사역동사 (make, have, let) 사역동사는 노동과 관련된 동사이다. 그럼 왜 이런 노동에 관련된 동사를 따로 사역동사란 이름으로 강조하게 된 것일까? 영어권 사람들은 노동을 신성하게 여긴다. 때문에 이러한 단어를 특별 취급하여 분류한다. make, have, let는 사역동사로 모두 '~을 시키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뉘앙스가 조금씩 다르다. * I made him to clean the room. 나는 그에게 방 청소를 하게 시켰다. → 강제로 명령을 하여 시키는 느낌 * I had her to wash the dishes. 나는 그녀에게 설거지를 하게 했다. → 하고 싶지 않거나, 할 수 없는 경우 등, 대신 누군가에게 일을 요청하거나 지시하는 느낌 * My father let me t..
2018.04.13 -
지각동사는 감각기관을 통해 보고, 듣고, 느끼는 등의 지각을 나타내는 동사를 말한다. 그런데 지각동사를 공부하다 보면 머지않아 감각동사라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지각동사? 감각동사? 이 둘의 차이는 뭔데 또 나눠놓은 것일까? 사전적 의미를 찾아보면 지각은 대뇌의 사고 작용을 거쳐서 느낀 뭔가를 알아챈 것을 말하고, 감각은 시각, 청각, 후가, 미각, 촉각 등 오감을 통해 뭔가를 느낀 것이라 하는데.. 봐도 뭔가 알듯 말듯 확 와닿지 않는데, 지각과 감각은 모두 느끼고 인식하는 것과 관련이 있고, 이를 입장과 관점에 차이에 따라 나누게 된다. 형식을 모르는 사람에게 문법적 형식을 이야기해 봐야.. 구별하기 어렵다. 문법을 몰라도 그냥 간단하게 구별하는 방법은 감각동사는 be동사로 바꾸어도 뜻이 통한다. b..
기초 영문법 _ 지각동사 / 감각동사(오감동사)지각동사는 감각기관을 통해 보고, 듣고, 느끼는 등의 지각을 나타내는 동사를 말한다. 그런데 지각동사를 공부하다 보면 머지않아 감각동사라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지각동사? 감각동사? 이 둘의 차이는 뭔데 또 나눠놓은 것일까? 사전적 의미를 찾아보면 지각은 대뇌의 사고 작용을 거쳐서 느낀 뭔가를 알아챈 것을 말하고, 감각은 시각, 청각, 후가, 미각, 촉각 등 오감을 통해 뭔가를 느낀 것이라 하는데.. 봐도 뭔가 알듯 말듯 확 와닿지 않는데, 지각과 감각은 모두 느끼고 인식하는 것과 관련이 있고, 이를 입장과 관점에 차이에 따라 나누게 된다. 형식을 모르는 사람에게 문법적 형식을 이야기해 봐야.. 구별하기 어렵다. 문법을 몰라도 그냥 간단하게 구별하는 방법은 감각동사는 be동사로 바꾸어도 뜻이 통한다. b..
2018.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