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와 다음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양대 포털사이트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타이틀이 무색하게 작년의 한 통계를 살펴보면 네이버 75.2%, 다음 10.2%로 네이버 이용자가 압도적인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더군다나 다음은 구글(11.8%) 에게도 밀리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카카오톡의 성장으로 모바일 시장이 앞으로 어떻게 변화할지 모르겠으나 그래도 이미 익숙해져버린 사용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긴 다소 힘들것으로 보인다. 그만큼 한국에서는 네이버에 영향력이 압도적이라 할 수 있다.
즉, 다음을 기반으로 하는 티스토리 역시 네이버의 그늘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본 블로그는 현재 네이버의 검색 유입량이 전체 비중에 10%에도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네이버 유입량에 크게 신경을 쓰지 않게 된지 오래이긴 하지만, 방문자가 많은 다른 티스토리 블로거들에게는 네이버 검색 유입이 없어서는 안될 꼭 필요한 요소일 것이다.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등록을 하지 않아도 네이버 검색이 되긴 한다. 하지만 굳이 등록을 하는 이유는 자신의 사이트가 웹 표준에 기반해 최적화 되어 있을 시 검색엔진이 보다 수월하게 자료를 수집하고 또 노출을 시켜주기 때문이다. 사실 등록을 한다 해도 대부분 네이버 블로그에 밀려 검색 순위가 안드로메다로 날라가는 경우가 허다 하지만, 그래도 등록을 해놔야 조금 이나마 네이버 검색에 도움이 될테니 일단 등록을 해 보도록 하자.
▶ https://webmastertool.naver.com
![네이버 웹마스터도구](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7EE84F5CA59EC83B)
네이버 웹마스터도구로 이동하여 회원가입을 하고 로그인하여 네이버 웹마스터도구로 들어가자.
![연동사이트](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DAFA4E5CA59F7536)
사이트 추가 항목에 본인의 추가할 사이트(블로그) 주소를 입력한 후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웹마스터 도구에 대한 사항들이 나타난다.
네이버 검색엔진에 최적화를 위해서는 네이버 웹마스터도구를 통해 크게 사이트 소유확인과 RSS, 사이트맵 등록 등을 필수적으로 해줘야 한다.
사이트 소유확인
![사이트 소유확인](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0F724E5CA5AEC818)
소유확인 절차가 나오면 'HTML 태크'에 체크를 하고 메타테그를 복사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87EE455CA5B6062B)
본인 블로그의 설정 창으로 들어가 1 스킨편집을 클릭, 2 html 편집을 클릭, HTML 편집창에서 3 <head> </head> 사이에 복사한 메타테그를 붙여 넣은 후 상단의 적용버튼을 클릭하여 저장을 해준다.
![확인](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9661505CA5BD8429)
블로그에 메타테그를 넣었 주었다면, 다시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로 돌아와 보안절차 문자를 입력 후 확인, 소유확인이 완료되었다는 안내 문구가 뜨면 확인 후 소유확인을 마치면 된다.
RSS 제출
![rss](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67474F5CA5C1C60E)
좌측의 메뉴의 요청 - RSS 제출 - 입력란에 사이트 주소와 /rss를 추가하여 확인을 클릭해주면 간단하게 RSS가 제출 된다.
오늘은 웹마스터도구 사이트 소유확인과 RSS 등록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았다.
☞ 사이트맵 만들기와 사이트맵 제출에 대해서는 다음번에 계속...
▶ 관련글: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_ 사이트맵 만들기와 등록 방법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_ 사이트 소유확인 및 RSS 등록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