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Foreign Language/漢 字

冂 [멀경], 凵 [입벌릴감](위튼입구) _ 한자 부수 214 자원(어원) 풀이

  • -

 

 

멀다, 먼 곳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冂의 자형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나 대부분 '멀다'의 뜻을 내포하고 있다.

 

국경선
冂은 (한일), (뚫을곤), (갈고리궐)로 이뤄진 글자로 지평선(一)을 꿰 뚫어(丨) 지키는(亅) 곳인 국경선을 표현했으며 국경선은 멀리 떨어져 있기에 '멀다'란 의미를 나타낸다. 후에 冂의 내부에 영토를 의미하는 (입구)를 덧붙여 '다른 경계 지역(冂)으로 들어가는 입구(□)'라는 뜻을 가진 (들경)의 모양으로 바뀌게 되었다.

 

멀리 떨어져 있는 막다른 장소
冂에 있는 두 개의 丨은 멀리 서로 이어져 있는 것이고 위에 있는 一은 경계의 구획을 나타낸 것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막다른 장소'라 하여 경계 밖 먼 곳의 의미를 나타낸다.

 

멀리 떨어진 지역
허신 '설문해자'에서 冂(멀경)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고을읍)의 밖은 (들교)이고 郊의 밖은 (들야)이다. 野의 밖은 (수풀림)이고 林의 밖을 冂이라 한다. 冂은 멀리 경계가 있는 것을 상형했다.'옛 사람들은 자신들의 거주지를 邑이라 하였고 자신들이 거주하는 지역으로부터 가장 바깥쪽이면서 먼 지역을 冂이라고 불렀다.


冂은 나라의 경계지역으로 이는 곧 국경을 뜻한다. 국경지역은 보통 멀리 떨어져 있는 곳이 었기에 冂은 '멀경, 지경경, 국경경'으로 쓰였으나 후에 국경이라는 의미로 (지경경)이 쓰이게 되면서 冂은 주로 '멀다'는 의미로 쓰이게 되었다.

 

冂은 보통 몸으로 쓰이나 부수가 글자를 둘러싼 모양이 아닌 경우도 있다. 冂은 '멀다, 먼 곳' 등을 의미하지만 대부분 부수로서 특별한 의미가 적용되지 않고 단지 자형 분류를 위해 부수로 설정된 경우이며 보통 다른 글자와 어울려 조자의 구실을 하게 된다.

☞ (빛날경), (안내), (있을유), (숭상할상), (향할향), (둥글원), (말이을이), (두재/다시재), (수건건), (발자국유), (그물망), (고기육), (비우), (높을고) 등

 

 

 

 

凵  입벌릴 (위튼입구)

 

입을 벌리다, 위 터진 그릇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凵은 갑골문에는 자형이 보이지 않는다. 소전을 보면 땅을 판 구덩이 모양을 하고 있다. 그래서 구덩이 또는 동굴이라 설명하거나 또는 입을 벌린 모양으로 보이기도 한다. 이 외에도 물건을 담는 그릇란 설도 있다. (입구)에 윗쪽이 떠졌다 하여 통상적으로 '위튼 입구'란 부수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허신 '설문해자'에서 凵은 입을 벌린 모양을 본뜬 상형문자라 설명하였다. 사람이 입을 벌리면 아랫턱이 밑으로 벌어지게 되므로 (입구)자에서 윗 입술을 생략하여 '입을 벌림'의 뜻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凵을 모든 것을 받아 들이는 넉넉한 그릇의 의미로 갖기도 한다. (달감)이나 (풍성할풍)에서와 같이 모든 음식물을 입으로 받아 들이듯 凵은 넉넉함의 의미를 품고 있다.

 

凵은 단독체로는 쓰이지 않으며 부수로서 '구덩이'나 '움푹 들어간 것'으로 활용되거나 다른 문자와 어울려 조자의 구실을 하기도 한다.
☞ 부수로서는 (오목할요), (볼록할철), (흉할흉), (날출), (궤짝함), (흙덩이괴) 등에 활용되었고, 조자로서는 (이치), (뫼산), (장군부) 등에 활용되었다.

 

 

 

<冂 [멀경], 凵 [입벌릴감](위튼입구) _ 자원(어원)을 통한 한자 부수 214의 이해>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