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ormation _ 알려줘!/알아두면 좋은 정보
-
우리는 사람들이 옷을 입은 것을 보고 그 사람의 모든 것을 평가하기도 한다. 세계적인 디자이너 코코 샤넬은 이런 말을 햇다. "옷을 잘못 입은 여성을 보면 사람들은 그녀의 옷에 주목하지만, 옷을 잘 입은 여성을 보면 그녀라는 사람을 주목할 것이다." 단정하고 깜끔한 용모는 인품까지 돋보이게 하여 실제로 사회생활을 하는 데 있어서 단정한 복장은 좋은 인상을 준다. 보통 사회생활을 시작하면서 우리는 정장을 입게 된다. 20세기 초 에드워드 7세와 윈저공을 거치면서 양복에 유행과 흐름이 부각되기 시작하면서 남성들도 옷을 통해 자신의 지위는 물론 스타일을 드러내게 되었다. 정장은 기본적으로 슈트, 팬츠, 셔츠의 세 가지 품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슈트(suit) 슈트는 빅토리아 여왕 시대에 상류계급 남성들의 편히..
옷 잘입는법 _ 신뢰감을 업 시키는 남성 정장 입는법 (슈트, 팬츠, 드레스 셔츠)우리는 사람들이 옷을 입은 것을 보고 그 사람의 모든 것을 평가하기도 한다. 세계적인 디자이너 코코 샤넬은 이런 말을 햇다. "옷을 잘못 입은 여성을 보면 사람들은 그녀의 옷에 주목하지만, 옷을 잘 입은 여성을 보면 그녀라는 사람을 주목할 것이다." 단정하고 깜끔한 용모는 인품까지 돋보이게 하여 실제로 사회생활을 하는 데 있어서 단정한 복장은 좋은 인상을 준다. 보통 사회생활을 시작하면서 우리는 정장을 입게 된다. 20세기 초 에드워드 7세와 윈저공을 거치면서 양복에 유행과 흐름이 부각되기 시작하면서 남성들도 옷을 통해 자신의 지위는 물론 스타일을 드러내게 되었다. 정장은 기본적으로 슈트, 팬츠, 셔츠의 세 가지 품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슈트(suit) 슈트는 빅토리아 여왕 시대에 상류계급 남성들의 편히..
2017.03.14 -
우리나라의 전통 인사는 절, 한자로 배(拜)라고 한다. 상대를 공경하는 표현으로서 몸을 굽혀 하는 인사이다. 유가(儒家)의 절에는 계수배, 돈수배, 공수배, 숙배 등이 있으며 불가(佛家)의 절에는 합장과 배불이 있다. 오늘날의 절은 유가의 절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 절의종류와 유의점 절의 종류에는 정중한 의식에서 행하는 큰절, 평상시 웃어른을 뵐 때 하는 평절 그리고 약식 절인 반절이 있다. 절의 종류 큰절: 제사, 성묘, 전통 혼례시 교배와 폐백, 상례 시 영전, 부모님 회갑 등의 자리에 큰절을 한다. 평절: 설날 세배, 어른의 생신, 선생님 등의 웃어른께의 인사, 상례 시 상주와의 인사 등의 자리에 평절을 한다. 반절: 웃어른이 아랫사람 절에 대한 답례시 반절을 한다. 절을 할때의 유의점 · 절하는 ..
인사예절 _ 절의종류 & 공수자세와 절하는법우리나라의 전통 인사는 절, 한자로 배(拜)라고 한다. 상대를 공경하는 표현으로서 몸을 굽혀 하는 인사이다. 유가(儒家)의 절에는 계수배, 돈수배, 공수배, 숙배 등이 있으며 불가(佛家)의 절에는 합장과 배불이 있다. 오늘날의 절은 유가의 절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 절의종류와 유의점 절의 종류에는 정중한 의식에서 행하는 큰절, 평상시 웃어른을 뵐 때 하는 평절 그리고 약식 절인 반절이 있다. 절의 종류 큰절: 제사, 성묘, 전통 혼례시 교배와 폐백, 상례 시 영전, 부모님 회갑 등의 자리에 큰절을 한다. 평절: 설날 세배, 어른의 생신, 선생님 등의 웃어른께의 인사, 상례 시 상주와의 인사 등의 자리에 평절을 한다. 반절: 웃어른이 아랫사람 절에 대한 답례시 반절을 한다. 절을 할때의 유의점 · 절하는 ..
2017.03.11 -
인사는 마음의 문을 여는 열쇠로서, 예절의 시작이다. [인사] 사람 인(人)자와 일 사(事)자, 즉 사람이 하는 일(人事)로서, 서로 만나거나 헤어질 때 말이나 태도 등으로 존경, 인애, 우정을 표현하는 행동 양식이다. 인사는 인간 예절의 기틀로서, 예절의 기본이며 인간관계의 시작이자 윤리 형성의 기본이다. 인사는 본래 그 유래가 원시시대에 생대를 해치지 않겠다는 수호(적이 아니라는 신호)로서 손을 위로 들기도 했고(현재의 거수 경례), 손을 앞으로 내밀기도 했으며(현재의 악수) 허리를 굽히기도 했다(허리 굽혀 경례). 인사는 섬김의 자세이자 환영의 표시이고 신용의 상징, 친근감의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인사는 평범하고도 쉬운 행위이지만 습관화 되지 않으면 실천에 옮기기가 어렵다. [인사의 종류와 방법]..
인사예절 _ 인사의 종류와 올바른 인사법인사는 마음의 문을 여는 열쇠로서, 예절의 시작이다. [인사] 사람 인(人)자와 일 사(事)자, 즉 사람이 하는 일(人事)로서, 서로 만나거나 헤어질 때 말이나 태도 등으로 존경, 인애, 우정을 표현하는 행동 양식이다. 인사는 인간 예절의 기틀로서, 예절의 기본이며 인간관계의 시작이자 윤리 형성의 기본이다. 인사는 본래 그 유래가 원시시대에 생대를 해치지 않겠다는 수호(적이 아니라는 신호)로서 손을 위로 들기도 했고(현재의 거수 경례), 손을 앞으로 내밀기도 했으며(현재의 악수) 허리를 굽히기도 했다(허리 굽혀 경례). 인사는 섬김의 자세이자 환영의 표시이고 신용의 상징, 친근감의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인사는 평범하고도 쉬운 행위이지만 습관화 되지 않으면 실천에 옮기기가 어렵다. [인사의 종류와 방법]..
2017.03.08 -
이미지는 라틴어 '이마고(imago : imitari 흉내 내다 + age = 흉내 낸 것)'가 어원으로 사전적으로는 형태나 모양, 느낌, 영상, 관념을 의미한다. [이미지의 정의] 감각 대상에 대해 감지된 정보가 마음속에서 정보처리의 과정을 거치며 재구성되어 만들어지는 형상. 어떤 사람이나 사물에 대해 가지는 시각상이나 기억, 인상, 평가 및 태도의 총체이다. 이미지는 심리적, 정신적 특성으로 사람의 내면에 있는 생각, 습관, 감정, 욕구, 심성 등의 내적인 이미지와 표정, 자세, 헤어스타일, 패션, 메이크업, 매너, 언어적 커무니케이션 등의 외적인 이미지로 나누어진다. 어떤 사람을 생각할 때 떠오르는 형체, 표정, 음성, 말투, 옷차림, 성격, 헤어스타일, 자세, 걸음걸이, 얼굴 생김새 등 그 사람에..
이미지메이킹 _ 이미지메이킹의 개념과 구성요소이미지는 라틴어 '이마고(imago : imitari 흉내 내다 + age = 흉내 낸 것)'가 어원으로 사전적으로는 형태나 모양, 느낌, 영상, 관념을 의미한다. [이미지의 정의] 감각 대상에 대해 감지된 정보가 마음속에서 정보처리의 과정을 거치며 재구성되어 만들어지는 형상. 어떤 사람이나 사물에 대해 가지는 시각상이나 기억, 인상, 평가 및 태도의 총체이다. 이미지는 심리적, 정신적 특성으로 사람의 내면에 있는 생각, 습관, 감정, 욕구, 심성 등의 내적인 이미지와 표정, 자세, 헤어스타일, 패션, 메이크업, 매너, 언어적 커무니케이션 등의 외적인 이미지로 나누어진다. 어떤 사람을 생각할 때 떠오르는 형체, 표정, 음성, 말투, 옷차림, 성격, 헤어스타일, 자세, 걸음걸이, 얼굴 생김새 등 그 사람에..
2017.03.06 -
우리는 국제화 시대에 살고 있다. 국제화 사회에서 폭넓고 좋은 인간관계를 맺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문화적 배경에 입각한 행동 양식이나 사고방식을 사전에 잘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문화의 차이에서 올바른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해주는 요소가 바로 매너이다. 콜롬비아 대학의 MBA과정에서 기업체의 최고경영자들을 대상으로 성공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인이 무엇인가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93%가 '대인관계 매너'를 꼽았다. 매너(manner) 매너는 마음의 문을 여는 열쇠로서 '변하지 않고 오래 갈 수 있는 인간관계 기법'이다. 매너의 기본적인 원칙은 타인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것이며, 상대방을 편안하게 해주는 것이다. 매너는 사전상 어원이 '방법, 방식, 태도' 이며, 복수로는 '예의 범절'로 명시되어..
매너와 에티켓의 차이 & 동서양의 예절 차이우리는 국제화 시대에 살고 있다. 국제화 사회에서 폭넓고 좋은 인간관계를 맺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문화적 배경에 입각한 행동 양식이나 사고방식을 사전에 잘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문화의 차이에서 올바른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해주는 요소가 바로 매너이다. 콜롬비아 대학의 MBA과정에서 기업체의 최고경영자들을 대상으로 성공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인이 무엇인가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93%가 '대인관계 매너'를 꼽았다. 매너(manner) 매너는 마음의 문을 여는 열쇠로서 '변하지 않고 오래 갈 수 있는 인간관계 기법'이다. 매너의 기본적인 원칙은 타인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것이며, 상대방을 편안하게 해주는 것이다. 매너는 사전상 어원이 '방법, 방식, 태도' 이며, 복수로는 '예의 범절'로 명시되어..
2017.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