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 사람인
사람, 타인, 그 사람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좌우 대칭인 팔다리를 간략하게 하나씩만 표현해 옆으로 서 있는 사람의 모습을 본뜬 글자이다. 人은 보통 사람을 나타내지만 문장 속에서는 '자신'과 대칭되는 '남'의 의미로 많이 활용된다.
본래는 사람이 정면을 보고 양팔, 양다리를 벌리고 서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인 大(큰대)가 사람을 뜻하는 글자였으나 점차 사람 보다는 '크다'라는 의미로 전용되자 人(사람인)이 만들어졌다.
人은 당당하게 서있는 大의 모양과 달리 꾸부정한 옆 모습을 하고 있다. 이는 위험에 조심하려 움츠리고 있는 사람들의 일반적인 모습이거나 꾸부정하게 누워 잠을 자는 모습일거라 추정하고 있다.
人은 사람과 관련된 의미뿐 아니라 일상생활의 다양한 의미를 내포한다. 그리고 글자 결합 시 위치에 따라 변형이 일어나기도 한다.
☞ 변에 위치하면 亻(선사람인)으로, 머리에 위치할 땐 𠆢(사람인머리), 𠂉(누운사람인), ク(엎드린사람인) 등으로, 발에 위치하면 儿(어진사람인)의 형태로 변형되는데 儿의 경우에는 별도의 부수로 구분된다.
仙 [신선선]
亻(선사람인)과 山(뫼산)이 합쳐진 글자로 산에 사는 사람이 신선(神仙)이란 의미를 나타낸 글자이다.
介 [낄개]
人(사람인)과 八(여덟팔/나눌팔)이 합쳐진 글자로 𠆢(사람인머리)는 사람을 뜻하고 八은 본래 갑옷을 나타내는데 설문해자에서는 이를 여덟팔로 보았다. 즉, 介는 갑옷(八)을 입은 사람(𠆢)인 무사(武士)를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후에 사람이 갑옷 속에 끼어 있다하여 '끼다, 끼이다'는 의미가 생겨 났다.
乞 [빌걸]
𠂉(누운사람인)과 乙(굽을을)이 합쳐진 글자로 '엎드려 있는 사람' 즉, 사람이 엎드려 구걸을 하거나 애원을 하는 모습을 나타낸 글자이다.
厃 [위태로울위]
ク(엎드린사람인)과 厂(기슭엄)이 합쳐진 글자로 사람이 벼랑가에 있는 모습으로 위태로움을 타나낸 글자이다.
儿 어진사람인
사람, 타인, 아이, 갓난아기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사람이 무릎을 꿇고 절을 하는 모양을 하고 있어 겸손하고 어진 마음을 가진 듯 한 형태라 하여 통상적으로 어진사람인으로 불리우나 실제로 儿에는 어진사람의 의미는 없다.
허신은 '설문해자'에서 儿은 人을 옛날에 쓰던 글자이고 사람의 다리가 굽은 모양을 나타낸 상형문자라 설명 하였다. 공자는 儿은 아래에 있으므로 구부렸다 하였다.
儿은 본래 人과 같은 문자로 사용되었는데, 문자조합을 위해 발에 위치할 때 형체를 조금 바꾸어 분화된 형태의 儿(어진사람인)으로 표현되는 것 뿐이다. 즉, 儿은 人의 변형자로 다리부분을 강조한 모양으로 人과 같은 뜻을 가지며 대부분 ‘사람’과 관련된 의미를 갖는다.
보통 글자가 다른 글자와 결합되어 만들어질 경우에는 글자의 위치에 따라 그 부분이 강조되게 된다. 그래서 글자 위에 올라가면 대부분 머리와 관련된 글자가 된다. 儿은 발의 자리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람을 뜻하는 동시에 자연스럽게 사람의 발을 의미하게 된다.
人과 儿은 본래 같은 글자인데 부수를 달리하는 이유는 人과 儿이 구성된 글자가 각기 다르기 때문이다. 한자는 그림으로 시작된 글자이며 그렇게 만들어진 글자들은 다시 서로가 합쳐져 새로운 글자로 만들어졌다. 즉 儿가 들어가면 한눈에도 사람과 관련된 글자라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見(볼견)은 儿에 目(눈목)이 합쳐진 글자이고, 兄(맏형)은 儿에 口(입구)가 합쳐진 글자이다. 예전 시대엔 맏이가 입을 벌려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사람이었기 때문에 이러한 글자가 만들어졌다. 兌(기쁠태)는 입의 좌우에 주름이 생기도록 웃고 있는 사람의 모습을 본 따 만든 글자이며, 元(으뜸원)은 사람의 머리를 강조해 만든 글자로 사람의 몸에서 머리가 으뜸이라하여 으뜸이라는 의미가 생겼다. 이처럼 儿이 들어간 글자는 대부분 사람과 관련된 의미를 가진다.
☞ 주의할 점은 見(볼견)은 儿가 부수가 아닌 자체부수이다.
儿(어진사람인)이 儿(아아아)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 아이아 본자는 兒(아이아)이다. 兒는 儿 위에 臼(절구구)를 올려놓은 모양을 하고 있는데 여기서 臼는 어린 아이의 정수리를 상징하는 것으로 아이가 숨을 쉴 때 마다 정수리의 숫구멍이 펄럭이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풀이된다.
즉, 兒는 정수리의 숫구멍이 아직 굳지 않고 머리통만 크게 보이는 어린 아이의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중국의 간자체에서는 兒(아이아)에서 머리모양을 생략하고 발 모양만을 따서 어진사람인을 儿(아아아)로 사용하기도 한다.
<人 [사람인], 儿 [어진사람인] _ 자원(어원)을 통한 한자 부수 214의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