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Foreign Language/漢 字

丨 [뚫을곤], 亅 [갈고리궐], 丿 [삐침별] _ 한자 부수 214 자원(어원) 풀이

  • -

丨  뚫을

 

뚫다, 통하다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위에서 아래로 내리그어 ‘뚫음’을 나타내어 위와 아래가 서로 통함을 표시해 만든 글자이다.로

 

허신'설문해자'에서 丨은 아래로부터 위로 통하는 것이다. 丨을 위로 당겨쓰면 신(囟)으로 읽고, 아래로 당겨쓰면 퇴(囟)로 읽는다고 했다. 단옥재는 주석하여 곤(丨)의 현재 발음은 사와 이의 반절인 시와 고와 본의 반절인 곤으로 읽는다 설명하였다.

☞ 단옥재는 청나라 중기의 언어학자로 설문해자의 해설가로 설문해자의 주석서인 설문해자주 저술하였다.

 

(뚫을곤)은 ‘뚫다’, '상하로 통하다'라는 의미를 가지며 독립된 글자로 단독으로 쓰이는 경우는 없다. 그리고 부수로서의 활용에도 특별한 것이 없고 단지 부수 정리상 조자로서 글자의 한 부분으로 쓰여지는게 대부분이다.

 

 

[가운데중]

사방을 둘러 싼 네모의 중앙을 관통해 꿰뚤어 '가운데'를 의미하는 글자이다.

 

[꿸관/꿸천]

고대에 화폐로 사용되었던 조개를 실로 꿴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亅  갈고리

 

솟구치다, 갈고리 모양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亅은 갈고리의 모양을 본뜬 상형문자로 위에서 아래로 그어 내린 다음 끝부분을 왼쪽 위로 치켜 올려 갈고리의 모양을 표현하였다.

 

亅은 끝이 날카롭고 구부러져 물건을 꿰어 낚을 때 쓰는 도구로 흔히 '갈고리'라고도 불리며 그 모양이 흡사 낚시 바늘과 비슷하여 낚시 바늘을 본뜬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갈고리궐)은 글자의 모양처럼 뻗침이나 솟구침을 표현하기도 하나 독립된 글자로 단독으로 쓰이는 경우는 없다. 보통은 부수로서 특별한 의미를 가지지 않고 단지 자형 분류를 위해 다른 글자와 어울려 (마료), (일사), (나여) 등과 같이 조자의 역할로서 활용된다.

 

☞ '(갈고리궐)'은 '(뚫을곤)'과 유사하게 생겼으나 끝의 곧고 굽은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丿  삐침

 

나아가다, 앞서다, 자르다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오른쪽 위에서 왼쪽 아래로 삐치어 그 방향으로 굽은 것을 가리켜 표시한 글자로 사물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 글자이다.

 

서체에서는 붓을 왼쪽으로 삐치는 것을 별이라 하는데 별은 우상에서 좌하 방향으로 뻗는 모양을 말한다. 즉, 글자 자체가 삐침의 모양을 하고 있다.

 

'삐침'이라는 뜻은 글자를 쓰거나 물건을 옆으로 치우는 것을 표현할 때의 '제치다'라는 의미로도 사용되는데, 인간관계에서도 이러한 삐침을 엿볼 수 있다. 누군가에게 마음이 상하거나 화가 나서 토라졌을 때 또는 상대방에게 못 마땅한 점이 있어 상대하고 싶지 않을때 흔히 고개를 옆으로 제치는 행동을 '삐지다', '삐치다'라는 표현 하기도 한다.

 

丿(삐침별)은 '나아가다, 앞서다, 멈추다, 자르다" 등의 의미로 쓰이며 어떠한 행위가 있음을 암시하는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보통 독립된 글자로 단독으로 쓰이는 경우는 없으며 다른 문자와 어울려 조자의 기능을 하게 된다.

 

 

 [아홉구/다할구/막힐구/모을규]

丿(나아갈별)과 乙(굽을을)이 합쳐진 글자로 굽어 더이상 나아가지 못함에서 '운(運)이나 기(氣)가 막히거나 끝난 것'을 의미한다. 九가 숫자 9로 쓰여진 까닭은 완성과 마침을 의미하는 十의 숫자에 가까워졌지만 더 이상 나아가지 못하고 끝나버렸기에 九를 아홉으로 쓰게 되었다.

 

그래서 보통 동양에서의 숫자 九를 기피하는 현상이 있다. 아홉수가 들어있는 나이에서는 회갑, 생일, 결혼 등의 경사스런 큰일을 치루지 않는 풍습이 여전히 남아 있다.

九는 모든 수가 합쳐져 있는 것에서 '모이다, 모으다, 많다' 등의 의미도 지니는데  이때는 가 아닌 로 쓰인다.

 

 

 

<丨 [뚫을곤], 亅 [갈고리궐], 丿 [삐침별] _ 자원(어원)을 통한 한자 부수 214의 이해>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